신기술 범위 |
방염섬유와 하이브리드 PVC시트를 일체화한 난연성 방수시트의 모서리 접합부에만 함침용 우레탄을 적용하고, 시트 상부에 난연성 우레탄 탑코트를 도포한 복합방수공법 |
신기술 내용 |
방염섬유와 하이브리드 PVC를 일체화한 난연성능의 방수시트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으로 부착력이 향상된 P&U프라이머를 개발․적용하여 별도의 중간 매개체 없이 시트와 도막을 일체화함으로서 접합부의 수밀안정성 및 장기적인 방수성능을 확보하고, 상부 우레탄도막을 시트 상부 전면에 도포하지 않고, 조인트 부위와 끝단부, 모서리부위 등 취약부위에만 시공함에 따라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며, 시트상부에 난연 우레탄 탑코트를 도포함으로써 옥상공간의 화재 안전성을 개선하여 보다 안전한 대피장소로 활용될 수 있는 복합방수공법
|
플랫폼 지원분야 |
신기술 분류 |
건축 / 방수공 / 합성고분자계 시트방수
|
/ /
|
/ /
|
키워드 |
방염섬유
PVC시트
P&U프라이머
난연성우레탄 코트
난연성 방수시트
|
신기술표준도 |
1. 신기술의 구성_872호(2236).jpg [29651 byte]
|
성능 및 품질 |
방염섬유와 하이브리드 PVC를 일체화한 난연성능의 방수시트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으로 부착력이 향상된 P&U프라이머를 개발․적용하여 별도의 중간 매개체 없이 시트와 도막을 일체화함으로서 접합부의 수밀안정성 및 장기적인 방수성능을 확보하고, 상부 우레탄도막을 시트 상부 전면에 도포하지 않고, 조인트 부위와 끝단부, 모서리부위 등 취약부위에만 시공함에 따라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며, 시트상부에 난연 우레탄 탑코트를 도포함으로써 옥상공간의 화재 안전성을 개선하여 보다 안전한 대피장소로 활용될 수 있는 복합방수공법이다. |
시공성 |
신청기술은 선행 방수분야의 기술적 동향 분석을 통해 기존 기술들과는 달리 복잡한 레이어 구성에서 탈피하여 보다 간단하고 손쉬운 시공이 가능한 공법을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시트 자체의 완전한 수밀안정성 확보를 통해 시트 간 조인트부위를 제외한 시트 상부에 우레탄도막을 시공하지 않고, 탑코트만을 시공하여 마감하는 레이어 구성을 완성하였다. |
경제성 |
기존 기술들은 건설신기술 지정을 위해 다양한 재료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거나, 독특한 디자인의 접합부 및 공법을 구성함으로서 복잡한 레이어를 구성하고 있다.반면 신청기술에서는 방수기술의 본질적 요구성능인 수밀성과 옥상부위에서 지켜져야 할 필요성능에만 초점을 맞춰 개발함에 따라 다수의 재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재료적, 시공적 비용이 기존 기술에 비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
안전성 |
신청기술은 옥상 노출형 방수공법으로서, 기존 방수기술들이 대부분 전체 5∼6공정으로 시공되는데 반해 신청기술의 경우, 전체 공정이 4공정으로 기존 기술에 비해 현저히 짧은 시공 공정으로 시공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기존 기술들에서는 시트로 구성된 방수층을 시공한 후 상부에 도막 방수층(주로 우레탄 도막방수재)을 1차 또는 2차로 도포하는데 반해 신청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도막 방수를 적용하지 않고 시트 상부에 바로 탑코트를 적용함으로서 공정을 최소하였다. |
유지관리성 |
신청기술은 기존 기술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누구나 손쉽게 시공이 가능한 옥상 노출형 방수공법으로서 유지관리 시에도 별도의 장비 및 전문 기술자가 요구되지 않으며, 누구나 손쉽게 점검과 관리가 가능한 기술이다. |
장단점 |
신청기술은 방염섬유와 PVC시트를 일체화한 난연 방수시트와 난연성 우레탄코트를 통해 옥상 노출형 복합방수공법의 난연화를 이뤘으며, PVC시트와 도막의 일체화를 위해 P&U프라이머를 개발, 적용함에 따라 취약부위의 수밀성을 한층 향상시킨 기존 방수공법의 패러다임을 탈피한 신개념의 복합방수공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