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기술등록

  1. 신기술등록
  2. 등록현황

등록현황

신기술 정보 - 대표이미지, 플랫폼 승인번호, 신기술 분류, 신기술 명칭, 등록기간, 기술보유업체
플랫폼 승인번호 제2020-17호
신기술 분류 내진
신기술 명칭 X-자 형상 강재 심부 플레이트 및 덧댐판으로 구성된 좌굴구속이 가능한 강성 및 에너지 소산형 내진보강 공법
등록기간 2020-04-23 ~ 2035-05-29
기술보유업체 포엠(주)

신기술정보

신기술정보

신기술 범위 X-자 형상 강재 심부 플레이트 및 덧댐판으로 구성되어 항복 변위 발생 전까지 강성보강 역할을 하고, 항복 변위 발생 이후 댐퍼로 작동하는 기술
신기술 내용 신청기술은 응력분포의 효율성을 증대시킨 X-자 형상의 강재 심부 플레이트와 압축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재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덧댐판으로 구성된 전단 하중에 대해서 강성이 증가하고 지진하중에서 발생 된 반복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소산 할 수 있는 내진보강 공법임.
플랫폼
지원분야
신기술
분류
내진 / 내진 / 내진
내진 / 내진 / 내진
내진 / 내진 / 내진
키워드 내진보강 내진성능평가 창호형 내진보강 벽식형 내진보강 지진
신기술표준도 X-자 형상 강재 심부 플레이트 및 덧댐판으로 구성된 좌굴구속이 가능한 강성 및 에너지 소산형 내진보강 공법 신기술 표준도.jpg [26601 byte]
성능 및 품질 - 좌굴구속형 강재 댐퍼는 응력분포의 효율성을 증대시킨 ‘X’형상의 심부 플레이트와 압축 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강재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덧댐판으로 구성되어 전단 하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저하를 방지하고 지진하중에서 발생 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제진 시스템임. - 현재 개발된 내진보강공법의 경우, 프레임보강으로 기둥 및 보와 직접 결합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음. - 프레임을 앵커볼트 접합방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기존 노후된 기둥의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력 저하 및 기둥의 단면손실을 가져올 위험이 있음. - 기존 내진보강 공법은 대부분 프레임 접합으로 인한 외관 훼손 및 창호설치에 추가비용이 발생함.
시공성 - 본 제품에 대한 시공성은 건축물의 규모, 내진 설계 등급 및 설계단계에서의 단면형상 등과 같이 고려사항이 다양하게 포함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기존제품은 지진에 의해 손상 시 기존 건축물로부터 해체 및 재설치의 어려움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시공비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판단됨. 반면 본 제품은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해체 및 재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유지관리 측면을 전반적으로 고려하면 그 시공비는 더 현저히 낮음.
경제성 설계·시공비 절감 효과 - 본 댐퍼 제품을 이용한 내진보강 시장에서 경제적 예상효과는 국내의 시장점유율 5%를 기준으로 약 2.00억 수준임. - 국외의 내진보강 시장은 국내 보다 약 10배 이상의 시장이 형성되어있으며, 해외시장에서 본 제품의 우수한 기술경쟁력으로 시장점유율을 약 0.5% 확보한다면 그 경제적 예상효과는 약 3조 수준임. - 고가의 주요부품을 이용하는 기존의 내진보강방법인 면진 및 제진장치는 주요부품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하지만, 본 댐퍼 제품은 고가의 주요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강재를 시스템화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면진 및 제진장치에서 국내로 부품을 수입하는 만큼의 수입대체 효과가 있음.
안전성 - 본 제품은 강성 및 에너지 소산 능력을 동시에 보강할 수 있어 타사 제품에 비해 성능점 확보가 매우 유리함. - 또한 구조물의 대 변형뿐만 아니라 소 변형에서도 에너지 소산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기 때문에 지진 규모와 건축물 시스템 종류에 관계없이 유연성 있게 충분한 성능점을 확보할 수 있음. - 기존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이 향상됨 - 보와 보 부분에 접합하는 방식이므로 기존의 기둥 및 보에 접합되는 방식보다 공사 기간이 짧고 시공성이 우수함.
유지관리성 - 기존 제품은 지진에 의해 손상 시 기존 건축물로부터 해체 및 재설치의 어려움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시공비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신청 제품은 유지관리 측면에서의 해체 및 재 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유지관리 측면을 전반적으로 고려하면, 그 시공비는 더 현저히 낮아진다.
장단점 1. 안정적인 횡하중-횡변위 관계 2. 강재구속에 의한 면외좌굴 방지 3. 우수한 연성능력 확보가능 4. 우수한 댐핑성능 발휘 5. 다양한 방법으로 구조물 보강이 가능함 (외부부착형, 창호형 등)

총괄관리자

총괄관리자 - 업체명, 법인(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대표자, 홈페이지, 주소, 성명, 직급, 휴대폰
업체명 포엠(주) 법인(사업자)등록번호 4098632931
전화번호 0617912931 대표자 고정완
홈페이지 www.four-m.co.kr
주소 [57722] 전라남도 광양시 광포3길 50 2층 (광영동)
성명 최용수 직급 차장
연락처 01026800434

전용실시권자

전용실시권자 - 업체명, 법인(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대표자, 홈페이지, 주소, 성명, 직급, 연락처, 기간, 범위
업체명 법인(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대표자
홈페이지
주소 []
성명 직급
연락처 기간 ~
범위

인증정보

인증정보 - 구분, 인증번호(특허/정부인증), 인증기간, 증빙서류
구분 인증번호(특허/정부인증) 인증기간 증빙서류
특허 제10-1578198호 2015-05-29 ~ 2035-05-29 인증기술증서/특허증 GD공법 - 특허등록증.pdf [155109 byte]
특허등록공보 GD공법 특허등록공보.pdf [687621 byte]
등록원부 GD특허등록원부.pdf [1623257 byte]

기술자료

공정 사진

공정 사진 - 공정 사진, 공정설명
공정 사진 공정 설명
공정 사진1 공정 사진1 앵커천공 및 고정
공정 사진2 공정 사진2 앵커천공 및 고정
공정 사진3 공정 사진3 앵커 인발시험 및 에폭시 주입
공정 사진4 공정 사진4 마감처리
공정 사진5 공정 사진5 외벽 마감처리

첨부파일

첨부파일 - 신기술 설명서, 원가산정기준, 시방서, 설계도면, 신기술 기타사항
신기술 설명서 신기술 등록 신청서.pdf [8447699 byte]
원가산정기준 원가계산서 및 원가산정기준.zip [9917756 byte]
시방서 신기술 시방서.hwp [290816 byte]
설계도면 신기술 설계도면.hwp [1182208 byte]
신기술 기타사항 1. 좌굴구속형 X자 강재댐퍼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의 설계 및 시공 가이드라인.pdf [335219 byte]

신기술선정현황

신기술활용실적 - 번호, 공사명, 제안금액(원), 공사기간(착공일~준공일), 업체명, 담당자
번호 사업명 사업기간 총사업비(원) 설계반영금액(원) 업체명 발주기관 발주부서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