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범위 |
교량의 일반구간은 U형의 개구단면으로 구성하고 연속지점부 상부플랜지는 인장응력 발생구간을 폐합하고 연속지점부 하부플랜지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합성하며, 연속지점부 콘크리트 바닥판에는 PS강선으로 긴장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하고 별도의 바닥판 유지관리용 프리캐스트 정착구를 설치한 개구단면 박스 거더 공법 |
신기술 내용 |
이 신기술은 교량의 일반구간을 U형의 개구단면으로 구성하고 연속지점부 상부플랜지는 인장응력 발생구간을 폐합하여 상부의 인장응력을 강재가 부담하고 연속지점부 하부플랜지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부모멘트의 저항단면을 증대하며, 연속지점부 콘크리트 바닥판에는 PS강선으로 긴장하여 부모멘트에 의한 바닥판의 인장응력 및 균열을 저감할 수 있는 압축응력을 도입하고 별도의 바닥판 유지관리용 프리캐스트 정착구를 설치한 개구단면 박스거더 공법
|
플랫폼 지원분야 |
신기술 분류 |
교량 / 강교량 / 강교량
|
/ /
|
/ /
|
키워드 |
강교
스틸박스
개구제형
강합성
교량
|
신기술표준도 |
PUS 신기술 개요도.jpg [1043717 byte]
|
성능 및 품질 |
기존기술은 폐합단면으로 강재량이 많고 경간장 40~70m 사이 교량에 적용하며, 본 신기술은 개구단면 및 이중합성 적용으로 강재량을 30~40% 절감하고 경간장 40~100m의 교량으로 확대. 또한, 지점부 상부 바닥판 인장균열 및 누수 발생을 제어하여 바닥판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예방적 유지관리 기능을 구비. |
시공성 |
개구단면 및 이중합성 도입을 통한 저중량, 저형고 적용으로 강박스 제작기간 단축 및 도장시 작업환경이 개선, 지점부 바닥판 균열을 억제하여 교체주기가 길어져 환경오염을 최소화, 장경간 적용으로 하부의 교각 개수를 최소화, 자중을 줄여서 대블럭 가설시 시공편의 확대, 프리캐스트 정착구를 사용하여 거더내 작업 최소화. |
경제성 |
기존 강합성 교량에 비해서 강중이 25~30% 절감되고, 유사기술에 비해서 강중이 5~10%절감. 따라서, 신기술은 기존기술 대비 30%정도 경제성이 있으며, PS강선긴장으로 바닥판 교체 장주기화 및 교체시 교통혼잡 비용을 감소시켜 LCC측면에서 탁월. |
안전성 |
실물시험체 하중재하시험(명지대 하이브리드 실험실)과 현장재하시험(화암교 L=230m, B=17.9m)을 통한 수치해석 계측을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 검증완료, 넓은 하부플랜지로 가설시 전도의 위험이 없고, 무지보 상태에서 공중 콘크리트 타설 과정이 없어 교량가설시 붕괴위험이 없고, 개구단면 적용으로 내부작업에 매우 유리하며, 폐합 BOX교의 폐쇄공간으로 인한 2차사고 감소. |
유지관리성 |
개구단면으로 재도장 공사비 18% 절감하고 지점부 이중합성으로 처짐 및 진동개선과 좌굴저항성을 증대하였으며, 개통시 PS강선 긴장과 공용중 유지관리용 강선 긴장으로 지점부 바닥판 교체시 장주기화로 50년 생애주기비용 30%의 비용 절감을 확인. |
장단점 |
장점, 강재+콘크리트 합성으로 재료적 장점을 극대화 하여 강박스의 활용성 및 편의성을 증가시켰으며, 공용중 바닥판 균열 최소화를 위한 PS강선 긴장으로 바닥판 교체의 장주기화 및 유지관리의 공익성을 확보. 따라서 50~100m의 중‧장경간 교량에서 기존 아치교 등의 특수교를 대체할 수 있음.
단점, 바닥판의 PS강선 긴장 공종이 추가되나 공종 추가로 인한 공기의 증가는 미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