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기술등록

  1. 신기술등록
  2. 등록현황

등록현황

신기술 정보 - 대표이미지, 플랫폼 승인번호, 신기술 분류, 신기술 명칭, 등록기간, 기술보유업체
플랫폼 승인번호 제2023-16호
신기술 분류 건축
신기술 명칭 메쉬 함침형 합성고분자계 시트와 폴리우레탄계 도막방수재를 적용한 접합부 2중 보강 복합방수공법(MULTITECH System)
등록기간 2023-08-29 ~ 2037-10-12
기술보유업체 (주)예화엔지니어링

신기술정보

신기술정보

신기술 범위 메쉬가 함침된 합성고분자계 시트방수재 및 상부에 폴리우레탄계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시트 및 도막 방수재간 일체화하고 접합부 2중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복합방수공법
신기술 내용 합성고분자계 시트방수재 상부에 메쉬를 함침시켜 시트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치수안정성 향상으로 컬링현상을 방지하고, 시트방수재 상부에 도포되는 도막방수재와의 일체성을 확보하였다. 시트방수재 생산시 접합부 날개를 형성하여 접합부를 구성함에 있어 단차를 최소화한 겹침접합구조이며, 2중 접합구조를 바탕으로 응력 분산 거동 기술을 적용하여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거동 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대응성 확보를 통해 방수층 전체의 장기 방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노출 복합방수공법(MULTITECH System)이다.
플랫폼
지원분야
신기술
분류
건축 / 방수공 /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건축 / 방수공 /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건축 / 방수공 /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키워드 노출복합 이중접합 메쉬 도막복합방수 방수공사
신기술표준도 메쉬 함침형 합성고분자계 시트와 폴리우레탄계 도막방수재를 적용한 접합부 2중 보강 복합방수공법(MULTITECH System) image01.jpg [38270 byte]
성능 및 품질 신기술은 기존의 복합방수공법에서 선행되었던 바탕 정리와 프라이머 도포 공정이 불필요한 절연형 복합방수공법으로, 프라이머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를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탕정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공자 측면에서 시공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수시트는 Roll 형태로 생산되어 감겨 있는 상태로 파레트에 수직 보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방수시트의 끝단부가 감겨 휘는 컬링(Curl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시트 끝단부 컬링(Curling) 현상은 시공 시에 끝단부에 무게추를 올려놓거나 시트를 무리하게 말아서 접는 등 시공성 및 시공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접합부 끝단부에 도포된 도막재 간 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접합부를 도막재와 함침하더라도 도막재와 시트재 간 이격이 발생하여 접합부의 들뜸, 박리 등 하자 발생원인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본 신기술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신기술은 메쉬 구조의 폴리에스터 보강재로 구성된 시트를 활용하여 기존기술 대비 물리적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서 고내구성을 확보함으로써 시트 내구성 부족으로 인한 동종분야 유사 기술 대비 컬링(Curling)현상을 방지한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한 기술이다.
시공성 ***방수층의 절연구조 형성을 통한 바탕정리 공정 간소화= 시공성 향상*** 1.바탕면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 품질성능 발현 ↳바탕면 상태에 대한 의존도 감소 (방수층과 바탕면 간 절연층 형성) ↳절연구조 형성에 따른 간단한 바탕정리 가능(작업자 피로도 감소, 바탕정리 공정 시간 감소) 2.메쉬 구조의 보강재를 통한 시트재의 컬링(Curling) 현상 방지 = 시공성 향상 ↳ 시공 시 컬링 현장 방지로 작업 효율성 향상 시트재 끝단부 컬링 미발생 ↳ 시공 시 시트재 고정 불필요 ↳ 접합부 안정성 향상
경제성 1) 설계단가 본 신기술은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적용되는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에 관한 것으로 설계 단가는 바닥 49,356원, 벽체 34,604원이다. 2) 공사비 본 신기술은 건축 및 토목 구조물(수평슬래브)에 적용 가능한 방수기술로써 기존기술과의 설계·시공비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이 건설신기술 제 829호 대비 최대 14.93 % 절감, 건설신기술 제 766호 대비 최대 26.40 %의 절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공사기간 본 신기술의 시공절차는 다음과 같으며, 기존 건설신기술 대비 유사한 공정 순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4) 유지관리비 기존 기술은 바닥 123,345원이고, 본 신기술은 105,161원으로 유지관리비를 18,184원을 절감했다. 5) 환경부하 저감, 시장확대, 고용창출, 타산업 활성화 등 간접효과 본 신기술은 정부기관의 기술 우수성 및 친환경성을 인정받은 기술로, 기술 적용을 통해 환경부하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하며, 기존 하자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시장에서의 그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신기술을 차후 건설신기술 인증을 통해 우수한 방수기술로 방수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시장확대, 고용창출, 타산업 활성화 등의 간접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전성 접합부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1. 단차최소화로 물고임 및 이로 인한 방수층 열화 촉진 방지 2. 접합부 안정성 향상 및 반복 거동에 따른 장기 내구성 증대 3. 바닥 접착면에서 발생한 무절점 인장응력 전달 차단을 통해 접합부 전체 파단 방지 재생소재를 활용한 메쉬형 구조의 방수시트 개발 1. 컬링(Curling) 방지를 통한 품질 안정성 향상 2. 시트재 변형 억제를 통한 품질 저하 방지 3. 복합 방수층 간 일체성 향상
유지관리성 방수층 손상 시 별도의 전문 장비 및 숙련된 전문가 없이 간편한 보수 기능 1. 손상부 주변 정리 2. 손상부 실린트 충전 3. 보강포 및 K-TOP레아코트 도포 4. 보수 완료 본 신기술의 유지 보수 방법의 경우 방수층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부위에 실란트를 충전한 후 보강 및 k-TOP 레아코트를 도포하는 간단한 유지보수방법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본 신청기술은 작업자의 숙련도 및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손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관리편리성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장단점 1. 시공성 기존 기술 : 바탕면 상태에 의존하는 품질성능 발현으로 시공성 저하 ① 세심한 바탕정리 공정 필요(바탕면 처리 불량시 방수층 박리,박락 발생) ② 비산 먼지 순환 안착 문제점 발생(방수층 시공 전면에 대한 레이턴스 제거 필요) 신기술 : 바탕면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 품질성능 발현으로 시공성 향상 ① 바탕면 상태에 대한 의존도 감소(방수층과 바탕면 간 절연층 형성) ② 절연구조 형성에 따른 간단한 바탕정리 가능(작업자 피로도 감소, 바탕정리 공정 시간 감소) 2. 안전성 기존 기술 : 유기용제 및 화기구 사용 = 안전성 저하 ① 유기용제 혼입으로 작업자 안전성 위협 ② 화기구 사용으로 화재발생 ③ 유기용제 환경 오염 발생 신기술 : 유기용제 및 화기구 사용 배제 = 안전성 향상 ① 제조 및 시공과정에 이르기까지 기존기술에서 적용하고 있는 유기용제 및 화기구의 사용을 배제 ② 재생소재 활용으로 환경표지 및 녹색기술 인증

총괄관리자

총괄관리자 - 업체명, 법인(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대표자, 홈페이지, 주소, 성명, 직급, 휴대폰
업체명 (주)예화엔지니어링 법인(사업자)등록번호 5598600369
전화번호 0234011017 대표자 강태호
홈페이지 http://yehwa-eng.co.kr/
주소 [12918] 경기 하남시 조정대로 45(풍산동) 미사센텀비즈 F916호
성명 이민자 직급 실장
연락처 0234011017

전용실시권자

전용실시권자 - 업체명, 법인(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대표자, 홈페이지, 주소, 성명, 직급, 연락처, 기간, 범위
업체명 법인(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대표자
홈페이지
주소 []
성명 직급
연락처 기간 ~
범위

인증정보

인증정보 - 구분, 인증번호(특허/정부인증), 인증기간, 증빙서류
구분 인증번호(특허/정부인증) 인증기간 증빙서류
정부인증 건설신기술 제942호 신기술인증기관 바로가기 2022-10-07 ~ 2030-10-06 인증기술증서/특허증 신기술인증서.pdf [405691 byte]
특허등록공보
등록원부
특허 제10-2127732호 2020-06-23 ~ 2040-06-23 인증기술증서/특허증 특허증-다중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다중방수공법.jpg [706566 byte]
특허등록공보
등록원부 10-2127732 특허원부.pdf [517603 byte]
특허 제10-1667194호 2016-10-12 ~ 2036-10-12 인증기술증서/특허증 K-TOP 멀티텍 복합방수공법.pdf [582710 byte]
특허등록공보
등록원부 10-1667194 특허원부 23.2.7.pdf [165480 byte]
특허 제10-2208827호 2021-01-22 ~ 2041-01-22 인증기술증서/특허증 매쉬함침형 다중방수시트.pdf [709286 byte]
특허등록공보
등록원부 10-2208827 특허원부23.2.14.pdf [89208 byte]

기술자료

동영상

동영상 파일첨부
동영상파일첨부

동영상.mp4

공정 사진

공정 사진 - 공정 사진, 공정설명
공정 사진 공정 설명
공정 사진1 공정 사진1 바탕청소 및 정리
공정 사진2 공정 사진2 바탕청소 및 정리
공정 사진3 공정 사진3 접합부 보강
공정 사진4 공정 사진4 K-TOP 레아코트 도포
공정 사진5 공정 사진5 K-TOP 멀티 탑코트 도포

첨부파일

첨부파일 - 신기술 설명서, 원가산정기준, 시방서, 설계도면, 신기술 기타사항
신기술 설명서 1.신기술 설명서.pdf [3995071 byte] [서식 Ⅲ-1] 신기술등록신청서.pdf [37785086 byte]
원가산정기준 2.원가산정기준.pdf [302291 byte] 신기술 원가산정기준.pdf [2759591 byte]
시방서 시방서.pdf [1189683 byte] 신기술 시방서.pdf [408219 byte]
설계도면 설계도면.pdf [221814 byte] 신기술 설계도면.pdf [238777 byte]
신기술 기타사항 신기술등록 신청서 ,기타자료.zip [50542996 byte] 신기술 기타사항.zip [31599922 byte]

신기술선정현황

신기술활용실적 - 번호, 공사명, 제안금액(원), 공사기간(착공일~준공일), 업체명, 담당자
번호 사업명 사업기간 총사업비(원) 설계반영금액(원) 업체명 발주기관 발주부서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