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범위 |
메쉬가 함침된 합성고분자계 시트방수재 및 상부에 폴리우레탄계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시트 및 도막 방수재간 일체화하고 접합부 2중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복합방수공법 |
신기술 내용 |
합성고분자계 시트방수재 상부에 메쉬를 함침시켜 시트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치수안정성 향상으로 컬링현상을 방지하고, 시트방수재 상부에 도포되는 도막방수재와의 일체성을 확보하였다. 시트방수재 생산시 접합부 날개를 형성하여 접합부를 구성함에 있어 단차를 최소화한 겹침접합구조이며, 2중 접합구조를 바탕으로 응력 분산 거동 기술을 적용하여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거동 하중에 대해 안정적인 대응성 확보를 통해 방수층 전체의 장기 방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노출 복합방수공법(MULTITECH System)이다.
|
플랫폼 지원분야 |
신기술 분류 |
건축 / 방수공 /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
건축 / 방수공 /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
건축 / 방수공 / 시트 및 도막 복합방수
|
키워드 |
노출복합
이중접합
메쉬
도막복합방수
방수공사
|
신기술표준도 |
image01.jpg [38270 byte]
|
성능 및 품질 |
신기술은 기존의 복합방수공법에서 선행되었던 바탕 정리와 프라이머 도포 공정이 불필요한 절연형 복합방수공법으로, 프라이머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를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탕정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시공자 측면에서 시공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방수시트는 Roll 형태로 생산되어 감겨 있는 상태로 파레트에 수직 보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방수시트의 끝단부가 감겨 휘는 컬링(Curl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시트 끝단부 컬링(Curling) 현상은 시공 시에 끝단부에 무게추를 올려놓거나 시트를 무리하게 말아서 접는 등 시공성 및 시공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접합부 끝단부에 도포된 도막재 간 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접합부를 도막재와 함침하더라도 도막재와 시트재 간 이격이 발생하여 접합부의 들뜸, 박리 등 하자 발생원인으로 적용하였다. 이에 본 신기술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신기술은 메쉬 구조의 폴리에스터 보강재로 구성된 시트를 활용하여 기존기술 대비 물리적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서 고내구성을 확보함으로써 시트 내구성 부족으로 인한 동종분야 유사 기술 대비 컬링(Curling)현상을 방지한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한 기술이다. |
시공성 |
***방수층의 절연구조 형성을 통한 바탕정리 공정 간소화= 시공성 향상***
1.바탕면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 품질성능 발현
↳바탕면 상태에 대한 의존도 감소 (방수층과 바탕면 간 절연층 형성)
↳절연구조 형성에 따른 간단한 바탕정리 가능(작업자 피로도 감소, 바탕정리 공정 시간 감소)
2.메쉬 구조의 보강재를 통한 시트재의 컬링(Curling) 현상 방지 = 시공성 향상
↳ 시공 시 컬링 현장 방지로 작업 효율성 향상 시트재 끝단부 컬링 미발생
↳ 시공 시 시트재 고정 불필요
↳ 접합부 안정성 향상
|
경제성 |
1) 설계단가
본 신기술은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적용되는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에 관한 것으로 설계 단가는 바닥 49,356원, 벽체 34,604원이다.
2) 공사비
본 신기술은 건축 및 토목 구조물(수평슬래브)에 적용 가능한 방수기술로써 기존기술과의 설계·시공비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이 건설신기술 제 829호 대비 최대 14.93 % 절감, 건설신기술 제 766호 대비 최대 26.40 %의 절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공사기간
본 신기술의 시공절차는 다음과 같으며, 기존 건설신기술 대비 유사한 공정 순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4) 유지관리비
기존 기술은 바닥 123,345원이고, 본 신기술은 105,161원으로 유지관리비를 18,184원을 절감했다.
5) 환경부하 저감, 시장확대, 고용창출, 타산업 활성화 등 간접효과
본 신기술은 정부기관의 기술 우수성 및 친환경성을 인정받은 기술로, 기술 적용을 통해 환경부하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하며, 기존 하자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예방함으로써, 시장에서의 그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신기술을 차후 건설신기술 인증을 통해 우수한 방수기술로 방수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시장확대, 고용창출, 타산업 활성화 등의 간접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
안전성 |
접합부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1. 단차최소화로 물고임 및 이로 인한 방수층 열화 촉진 방지
2. 접합부 안정성 향상 및 반복 거동에 따른 장기 내구성 증대
3. 바닥 접착면에서 발생한 무절점 인장응력 전달 차단을 통해 접합부 전체 파단 방지
재생소재를 활용한 메쉬형 구조의 방수시트 개발
1. 컬링(Curling) 방지를 통한 품질 안정성 향상
2. 시트재 변형 억제를 통한 품질 저하 방지
3. 복합 방수층 간 일체성 향상 |
유지관리성 |
방수층 손상 시 별도의 전문 장비 및 숙련된 전문가 없이 간편한 보수 기능
1. 손상부 주변 정리
2. 손상부 실린트 충전
3. 보강포 및 K-TOP레아코트 도포
4. 보수 완료
본 신기술의 유지 보수 방법의 경우
방수층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부위에 실란트를 충전한 후 보강 및 k-TOP 레아코트를 도포하는 간단한 유지보수방법으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본 신청기술은 작업자의 숙련도 및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손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관리편리성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장단점 |
1. 시공성
기존 기술 : 바탕면 상태에 의존하는 품질성능 발현으로 시공성 저하
① 세심한 바탕정리 공정 필요(바탕면 처리 불량시 방수층 박리,박락 발생)
② 비산 먼지 순환 안착 문제점 발생(방수층 시공 전면에 대한 레이턴스 제거 필요)
신기술 : 바탕면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 품질성능 발현으로 시공성 향상
① 바탕면 상태에 대한 의존도 감소(방수층과 바탕면 간 절연층 형성)
② 절연구조 형성에 따른 간단한 바탕정리 가능(작업자 피로도 감소, 바탕정리 공정 시간 감소)
2. 안전성
기존 기술 : 유기용제 및 화기구 사용 = 안전성 저하
① 유기용제 혼입으로 작업자 안전성 위협
② 화기구 사용으로 화재발생
③ 유기용제 환경 오염 발생
신기술 : 유기용제 및 화기구 사용 배제 = 안전성 향상
① 제조 및 시공과정에 이르기까지 기존기술에서 적용하고 있는 유기용제 및 화기구의 사용을 배제
② 재생소재 활용으로 환경표지 및 녹색기술 인증 |